728x90
반응형

건물의 외부면을 판넬재로 마감할 때 쓰이는 재료 중 알루미늄 판과 알포릭판이 있다.

알포릭판은 무엇인지 또 어떤 경우 쓰여지는지 알아보자.

 

알포릭 판 ALPOLIC

표면에 알루미늄판, 심재에 수지(합성수지의 그 수지, 플라스틱의 원료)를 사용한 3중구조의 알루미늄 복합패널이다.

특징으로는 가볍고 강하다. 양호한 평면성. 색상얼룩 없는 마감. 가공의 용이성 

 

같은 두께의 알루미늄이여도 알포릭 판을 쓸 경우 심재부분만큼의 금속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에

그 만큼 가볍다. 

금속의 두께가 얇아질 수록 강도가 약해지니 그만큼 평평해지기가 쉽지 않은데, 알포릭판을 쓸 경우

쉽게 평평하게 할 수 있고, 가공이 비교적 쉬울 수 있겠다.

알루미늄판 알포릭판은 기본적으로 같은 두께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. 

가격에 대해서, 같은 두께여도 알포릭판이 금속을 더 얇게 쓰기 때문에, 가격도 싼데, 

건물의 외장재로 쓰는 경우 풍압 등 어느정도의 강도가 필요하다. 강도 유지를 위해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가격차는 별로 없다는 의견도 있다. 사이즈, 강도 등 경우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기 때문에 가격은 그 경우의 메이커에 직접 물어보는게 나을 것 같다. 

 

기본적으로 알루미늄 판이기에, 공장생산할 경우 사이즈의 한계가 있다.

길이는 상관없지만 폭은 제조한계가 있다.  

일반적으로 1500이 한계라, 1500x?의 사이즈로 판넬로 마감한다.

즉 줄눈이 생기게 되는데, 이 줄눈간격을 몇으로 할건지, 디자인적으로 고려해볼 사항이 된다. 

알루미늄 판을 쓸건지, 알포릭판을 쓸건지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는 코너부분의 디자인이다.

일정한 줄눈 간격으로 판넬을 배치했을 때, 코너부분을 어떻게 표현할까 신경쓰이기 마련이다.

얇은 줄눈으로 보여질 것인가, 판을 구부려서 틈이 보이지 않게 할 것인가

알루미늄도 물론 구부릴 수 있지만, 금속 그자체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, 평평하게 안 될 가능성이 높다.

그래서 알루미늄판은 두께를 얇게 써서 단면이 보여지더라도 그다지 신경 쓰여지지 않을 경우에 쓸 때가 많다.

알포릭판일 경우 안쪽에 V자로 깎아내 구부리면 면이 예쁘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코너에 틈을 보여주고 싶지 않을 때 쓴다. 

그 밖에 두께, 강도, 가격 등의 이유로 쓰는 경우가 다를 수 있다. 

알포릭 판의 표면은 알루미늄 뿐 아니라 스테인레스 등 다른 금속재도 쓸 수 있다. 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